동영상*자막 합치는 방법


카카오인코더 외


동영상*자막 합치기는 동영상과 자막을 합쳐 동영상에 자막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자막 합치기 작업을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관리의 편리성 때문입니다. 영상과 자막을 한 세트로 묶어 관리하지 않아도 되니까요.


카카오인코더

카카오인코더를 실행하여 파일 추가 단추를 클릭합니다.
 




'원본 동영상을 선택해주세요.' 창이 열리면 인코딩 대상 비디오 파일을 선택한 후 열기를 클릭합니다. * 영상과 자막이 동일한 폴더에 보관되어 있어야 프로그램에서 자막을 인식합니다.




비디오가 작업 목록에 추가되면 자막에 o 표시가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x로 표시되어 있다면 자막과 동영상의 이름이 동일한지, 같이 폴더에 보관되어 있는지 체크합니다.




자막에 o가 정상적으로 표시되었다면 현재 설정값 변경 단추를 클릭합니다.




변환값 설정 창이 열리면 자막 사용 항목을 체크하고 적용 단추를 클릭합니다. * 동영상에 표시되는 자막 폰트, 크기, 위치는 아래 그림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자막 설정을 통해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자막 설정 완료 후 변환 시작 단추를 클릭하면 동영상*자막 합치기 작업이 시작됩니다.




변환 작업이 완료되면 '동영상 변환이 완료되었습니다.' 메시지 창을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저장 폴더열기'를 클릭하면 동영상과 자막을 합친 동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가 열립니다.




다음팟인코더

자막과 동영상을 하나로 합치기 위해서는 자막과 동영상이 같은 폴더에 보관되어 있어야 하며 파일명이 동일해야 합니다. 

Daum 팟인코더를 실행하여 불러오기 단추를 클릭합니다.





파일 열기 창이 열리면 영상*자막 합치기 대상 비디오를 선택하고 열기를 클릭합니다. 




전 단계에서 불러온 동영상이 인코딩 작업 목록에 추가되면 자막에 ㅇ가 표시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자막에 X가 표시되어 있다면 자막과 동영상이 같은 폴더에 보관되어 있는지, 동영상 파일명과 자막 파일명은 동일한지 체크합니다. 




동영상과 자막을 정상적으로 인식했다면 환경설정 단추를 클릭합니다.




자막 탭으로 이동하면 자막 출력 항목에 체크 표시가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없다면 클릭하여 체크하고 확인 단추를 클릭합니다. * 자막 스타일 설정에서는 영상에 표시되는 자막의 위치, 폰트 종류, 글꼴 크기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자막 합치기 준비가 완료되었다면 인코딩 단추를 클릭합니다.




인코딩이 진행되면 미리 보기 창이 열리면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동영상*자막 합치기 작업이 완료되면 '인코딩이 완료 되었습니다.'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해줍니다. 알람 창 중간의 '폴더열기' 문구를 클릭하면 동영상과 자막을 합친 영상이 보관되어 있는 폴더가 열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