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속도 조절하는 방법


카카오인코더 외


동영상 재생 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린 경우에는 인코딩 프로그램으로 속도를 조절하여 저장할 수 있습니다. 단 재생 속도를 확인하면서 인코딩 작업을 할 수 없으므로 동영상 재생 플레이어로 적합한 속도를 체크한 후 진행하는 게 좋습니다.


카카오인코더

카카오인코더를 실행하여 파일 추가 단추를 클릭합니다. 





'원본 동영상을 선택해주세요.' 창이 열리면 인코딩 대상 비디오 파일을 선택한 후 열기를 클릭합니다.




카카오인코더 작업 목록에 전 단계에서 추가한 비디오가 표시되면 현재 설정값 변경 단추를 클릭합니다.




변환값 설정 창이 열리면 오른쪽 하단의 있는 속도 변경 항목을 클릭하여 체크합니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재생 속도(배속)를 입력하고 적용 단추를 클릭합니다. * 1배속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재생 속도이며, 2배속은 현재 설정 값보다 2배 빠른 재생 속도이고 0. 5배속은 현재 설정 값의 절반에 해당하는 재생 속도입니다.




동영상 재생 속도 변경 후 변환 시작 단추를 클릭하면 인코딩 작업이 시작됩니다.




변환 작업이 완료되면 '동영상 변환이 완료되었습니다.' 메시지 창을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저장 폴더열기'를 클릭하면 변환한 비디오가 저장되어 있는 폴더가 열립니다.




다음팟인코더

다음팟인코더는 동영상 변환 프로그램으로 동영상 자르기, 자막 넣기, 워터마크 삽입하기 등 기본적인 동영상 편집 기능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Daum 팟인코더를 실행하여 동영상 편집 ⇾ 불러오기 단추를 클릭합니다.





파일 열기 창이 열리면 인코딩 대상 비디오를 선택하고 열기를 클릭합니다. 




동영상 파일이 목록에 추가되면 오른쪽 하단에 있는 환경설정을 클릭합니다.




기타 ⇾ 인코딩 기타를 보면 배속 인코딩 항목이 있습니다. 이 항목을 통해서 동영상 재생 속도를 변경・조절할 수 있습니다. 1.0은 정상 속도이고, 2.0은 정상 속도의 두 배 빠른 재생 속도이며, 0.5은 정상 속도의 절반에 해당하는 속도입니다. 




배속 설정 완료 후 인코딩 시작 단추를 클릭합니다.




인코딩 작업이 시작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미리 보기 창이 열리면서 진행상황도 소요시간을 표시해줍니다. 




동영상 속도 조절 작업이 완료되면 '인코딩이 완료 되었습니다.'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해줍니다. 알람 창 중간의 '폴더열기' 문구를 클릭하면 포맷을 변환한 영상이 보관되어 있는 폴더가 열립니다.